CNN visualization: CAM and Grad-CAM 설명
이번 포스팅에서는 CNN 모델이 어느 곳을 보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weak supervised learning 알고리즘 (CAM, Grad-CAM)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학습한 네트워크가 이미지를 개라고 판별할 때와 고양이라고 판별할 때, 각각 이미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은 다를 것입니다. 이를 시각화해주는 알고리즘이 바로 Class Activation Map (CAM) 관련 알고리즘들입니다.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CNN에 대한 설명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Weakly Supervised learning
학습 이미지에 대한 라벨만 있는 상황에서, 이미지의 어느 곳을 보았는가? 를 알고 싶을 때, 또는 학습 bounding box만 있는 상황에서, 각 pixel에 대한 label을 알고 싶을 때가 있을 것입니다.
즉, 학습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보다 예측해야할 정보가 더 디테일한 경우, 이를 Weakly supervised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오늘 다룰 CAM도 마찬가지로 이미지에 대한 label만 갖고 CNN 모델을 학습했지만, 결과적으로 이미지의 어느 부분을 주로 보았는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Weakly supervised learning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lass Activation Map (CAM)
Paper (2016)
본격적으로 CAM을 공부해봅시다.
CAM은 2016년 CVPR에서 발표되었습니다.
CAM을 요약한 이미지입니다. 눈에 띄는 정보로는 GAP 이라는 레이어가 보입니다. 마지막 Convolutional layer와 Target class 정보간 weight를 통해 Class Activation Map을 계산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NN architecture (conventional VS CAM)
일반적인 CNN 구조는 Convolutional layer가 몇 장 있고, Fully-connected layer가 따라 붙는 구조를 띕니다.
하지만 CAM 계산을 위해서는 Convolutional layer 이후를 Global Average Pooling (GAP) 레이어로 바꾸어주어야 합니다.
Global Average Pooling (GAP)
Global Average Pooling (GAP) layer는 입력 이미지의 모든 값의 평균을 출력을 내어줍니다. GAP 레이어로 들어오는 입력 이미지 feature map의 depth가 4라고 하면, 총 4개 값으로 이루어진 벡터를 얻게되는 것이죠.
극단적인 dimension reduction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Fine tuning
GAP가 끝나면 뒤에는 각 클래스로 연결되는 Fully-connected layer를 붙여 fine-tuning 시킵니다.
이 때 클래스 \(c\)에 대한 CAM 이미지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L_{CAM}^c (i,j)=\sum_k w_k^c f_k(i,j) \]
- \(f_k(i,j)\): \(k\)번째 feature image (\(i,j\)는 x, y 축 좌표를 의미함)
- \(w_k^c\): \(k\)번째 feature image \(f_k(i,j)\)에서 class \(c\)로 가는 weight
그림으로 나타내보자면 이렇게 됩니다.
각 feature map \(f_k(i,j)\)에 각 class에 대한 가중치 \(w_k^c\)를 곱해주면 heatmap을 feature map 개수 \(k\)만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heatmap 이미지를 모두 pixel-wise sum을 해주면, 하나의 heatmap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게 바로 CAM 입니다.
전체 과정을 요약하면 이렇게 됩니다.
CAM의 특징은 class마다 계산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즉, Dog class로 CAM을 계산할 경우에는, 다른 heatmap을 얻게됩니다.
Reason for last conv layer
마지막 Convolutional layer에 붙이는 이유는 GAP을 붙이기 용이하다는 점도 있지만, 각 레이어가 나타내는 정보도 영향이 있습니다.
CNN의 각 레이어는 처음에는 specific한 정보를, 뒤로 갈수록 broad한 범위의 정보를 갖습니다. 따라서 이미지 전체 중 특정 영역을 찾기 위한 레이어로 마지막레이어가 가장 더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Results
CAM의 결과이미지입니다. 학습이 잘 일어난 경우 label을 잘 설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mitation of CAM
CAM은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지만, Global Average Pooling layer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한계점을 갖습니다. GAP으로 대치하게되면 뒷부분을 다시 또 fine tuning 해야하며, 마지막 Convolutional layer에 대해서만 CAM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도 한계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Gradient-weighted CAM (Grad-CAM)
Paper (2017)
바로 다음 해 2017년 ICCV에서 Grad-CAM의 저자들은 이 문제를 Gradient를 이용해 해결했습니다.
Gradient
먼저 Gradient의 특징에 대해 짚고 넘어갑시다.
hidden layer가 없는 경우, 각 input 노드는 output 노드에 하나의 weight를 통해 영향을 줍니다. 또한 이 path를 통해 Gradient 가 역전파됩니다.
hidden layer가 추가되면, 각 input 노드는 모든 hidden layer의 노드를 거쳐 output 노드에 영향을 줍니다. Gradient 또한 모든 hidden layer를 거쳐 역전파됩니다.
즉, Gradient는 Class \(C\)에 대해 Input \(K\)가 주는 영향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CNN architecture for Grad-CAM
Grad-CAM을 위해서는 별도의 CNN 구조를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즉 GAP 레이어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입니다 !
Generalized CAM
Grad-CAM은 GAP을 쓸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일반화된 CAM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CAM의 수식은 \[ L_{CAM}^c (i,j)=\sum_k w_k^c f_k(i,j) \] 이었고
Grad-CAM의 수식은
\[
L_{Grad-CAM}^c (i,j)=ReLU(\sum_k a_k^c f_k(i,j)) \\
a_k^c=\frac{1}{Z} \sum_i \sum_j \frac{\partial S^c}{\partial f_k(i,j)}
\]
입니다.
두 식의 차이점은 ReLU 함수가 추가되었다는 점과 \(w_k^c\)가 \(a_k^c\)로 변경되었다는 점입니다.
\(a_k^c\)의 수식을 글로 풀어 설명해보면, \(k\)번째 feature map \(f_k(i,j)\)의 각 원소 \(i,j\)가 Output class \(c\)의 matmul값 \(S^c\)에 주는 영향력의 평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CAM에서는 weight으로 주었던 각 feature map의 가중치를, Gradient로 대신 주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겠죠. Gradient의 픽셀별 평균값인 \(a_k^c\)를 각 feature map \(f_k(i,j)\)에 곱해 heatmap을 만듭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pixel-wise sum을 한 후, ReLU 함수를 적용해 양의 가중치를 갖는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을 골라내면 Grad-CAM이 됩니다.
Result
Grad-CAM의 결과입니다. 사진 속 (b)는 Guided backpropagation이라는 방법인데, specific한 곳을 visualization 해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local 한 특성을 보여주는 Grad-CAM과 Specific한 특성을 보여주는 Guided backpropagation을 pixel-wise multiplication하게되면, Local+Specific 특징을 모두 갖는 Guided Grad-CAM을 얻을 수 있습니다.
Reference
-
Grad-CAM: 대선주자 얼굴 위치 추적기: 설명뿐 아니라 Grad-CAM과 CAM이 수식적으로 동일하다는 증명을 적어둔 포스트입니다. 추가로 Keras 구현도 되어있습니다.
-
고려대학교 DMQA 랩 세미나, 백인성 님 발표 자료: 설명 이미지 만들 때 참고자료로 사용했습니다.
Leave a comment